
전공분야
교회사
연구실위치
대학원 4층 412호
연구실전화
031-659-8214,
구내 8214
구내 8214
김문기 역사신학 교수, Dr.theol.
moonkee@ptu.ac.kr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에서 문학사〔B.A.〕, 신학대학원에서 문학석사〔M.A.〕를 마친 후, 독일 아우구스타나 신학대학원에서 경건주의 역사를 전공하여 신학박사〔Dr.theol.〕을 취득하였다. 1997년에 임용되었고 현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목사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수도원운동, 종교개혁사, 루터교 정통주의, 경건주의, 부흥운동이다.
학력
- 독일 Augustana Hochschule, Dr.theol.
- 독일 Universitat Gottingen 수학
- 독일 Universitat Munster 수학
-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M.A.
-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B.A.
경력
- 현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자문위원
- 현 한국교회사학회 자문위원
- 평택대학교회 담임목사 역임
- 한국교회사학회 회장 역임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회장 역임
- 한국교회사학회 편집위원장 및 연구윤리위원장 역임
- 한국교회사학회 총무 역임
저서
- 중앙교회 100년사, 서울: 두루출판사, 2016.
- 전주교회 70년사, 전주: 전주성결교회, 2016.
- Gemeinde der Wiedergeborenen, Munchen: Herbert Utz Verlag, 2003.
- 중앙교회90년사, 청파, 1998.
역서
- 아더 T. 피어선, 근대선교세기, 평택대학교출판부, 2012.
- Peter Schicketanz, 경건주의, 호서대학교출판부, 2015.
공저
- 성경과세계, 평택대학교 출판부, 2016.
- 평택대학교 100년사, 평택대학교 출판부, 2012.
- 성결교회인물전 제14집, 도서출판 두루, 2012.
- 신현수 외, 기독교알기, 이컴비즈넷, 2006.
- 알기쉬운 교회사, 이레서원, 2000.
- 성경과 세계, 평택대학교출판부, 2016.
공역
- 교회사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한국신학연구소, 2008.
논문
- “피어선의 존 낙스 이해-피어선의 ‘The Tercentenary of Knox’를 중심으로”, 피어선신학논단 제15집(2019), 23-66.
- “루터의 개혁과 그 유산”, 피어선신학논단 제12집(2018), 50-80.
- “피어선의 루터 이해-피어선의 루처에 관한 서술을 중심으로”, 피어선신학논단 제10집(2017), 7-30.
- “Christianity and Moon-Young Lee's Publich Administration -Center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ation-”,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Vol. 6. No. 1(2016), 43-56.
- “스코필드 박사에 대한 교회사적 평가”, 한국교회사학회지 33 (2012), 215-246.
- “Visionen vom Reich Gottes in Geschichte und Mission der Kirche in Korea” in Dein Reich Komme in Aller Welt. Interkulturelle Perspektiven auf das Reich Gottes, Hans-Helmuth Schneider u. Claudia Jahnel (Hg.), Neuendettelsau: Erlanger Verlag, 2011, 271-299.
- “아른트의 참 기독교에 관한 4권의 책에 나타난 하나님의 창조”, 한국교회사학회지 26 (2010), 101-135.
- “재세례파와 칼빈의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유아세례에 대한 소고”, 역사신학논총 18 (2009), 8-35.
- “경건주의 신학의 체계: 슈페너의 복음적 신앙교리”, 한국교회사학회지 25 (2009), 157-184.
- “기독교와 행정학자 이문영”, 복음과 신학 10 (2008), 169-189.
- “슈페너의 세례 이해”, 역사신학논총 14 (2007), 8-30.
- “신학교육의 문제점과 개혁에 대한 슈페너의 입장”, 역사신학논총 11 (2006), 112-131.
- “평신도 리더십으로서 슈페너의 영적 제사장직에 대한 이해”, 역사신학논총 10 (2005), 136-155.
- “요한 아른트의 생애와 참 기독교에 나온 기도에 관한 이해”, 역사신학논총 7 (2004), 212-235.
- “슈페너의 Pia Desideria에 나타난 교회 개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교회사학회지 12 (2003), 9-30.
- “피어선의 목회사역에 대한 소고”, 총장고희논문집 (2002), 117-131.
- “슈페너에 있어서 신앙과 경건의 실천”, 한국교회사학회지 11 (2002), 100-124.
- “복음적 설교의 전형: 루터의 교회설교에 관한 연구”, 루터연구 15 (2001), 59-84.
- “슈페너의 성결론”, 성결교회와 신학 6 (2001), 30-47.
- “Ecclesiola in Ecclesia for Christian Spiritual Growth - With German Pietism in 17th Century and the Early Korean Church”, Bible & Theology 30 -a special number- (2001), 155-183.
- “신자의 영적 성숙을 위한 ecclesiola in ecclesia", 성경과 신학 30 (2001), 101-123.
- “sola fide 와 bona opera에 대한 루터의 견해”, 복음과 신학 4 (2001), 135-155.
- “루터의 찬송과 종교개혁”, 기독교언어문화논집 5 (2001), 328-350.
- “사면부의 역사와 루터의 95개 논제에 대한 소고”, 역사신학논총 2 (2000), 24-41.
- “슈페너의 거듭남에 대한 이해”, 평택대학교 논문집 14 (2000), 3-14.
- “M. Luther의 theologia crucis에 대한 이해”,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 8 (2000), 110-128.
- “Ph. J. Spener 의 설교를 통한 17세기 독일루터교회의 개혁”, 기독교언어문화논집 3 (2000).
- “장례에 대한 교회사적 고찰과 루터의 장례식설교에 관한 소고”, 성경과 신학 26 (1999), 202-234.
- “프랑케와 할레의 경건주의”, 평택대학교 논문집 (1999), 1-14.
- “중앙교회 90년사에 관한 소고: 한국성결교회와 관계를 중심으로”, 복음과 신학 2 (1999), 211-255.
- “슈페너의 목회자상에 대한 소고”, 평택대학교 논문집 11 (1999), 31-43.
- “경건주의와 목회적인 적용”, 평택대학교 논문집 10 2호 (1998), 13-30.
- “Die Kindertaufe bei Calvin im Rahmen seiner Tauflehre in der Institutio von 1559”, 평택대학교 논문집 9 (1998), 35-58.
- “슈페너의 종말론”, 한국기독교학회지 15 (1998), 535-555.
- “십일조와 헌금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소고”,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 (1998), 305-318.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단말기에서 해당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