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환경융합공학과는 전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적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개설되었습니다. 수질환경, 대기환경, 토양환경, 환경보건 및 환경생태계 개선을 위한 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 환경모니터링 기술, AI기반 환경 빅데이터 분석 등의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교육과 연구를 통해 창의적이고 문제 해결 중심의 고급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교육분야로는 환경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원격탐사, 수질 및 대기오염 처리 기술 등 다양한 공학적 지식 및 최신 ICT 기술과 더불어 환경경영 및 정책이 융합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지향합니다. 또한,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졸업 후에는 환경분야 공공기관 및 기업과 연구소 그리고 환경컨설팅 및 엔지니어링 기업 등에서 환경 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전문가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적 및 목표
평택대학교 환경융합공학과는 급변하는 지구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실현을 위해, 대기환경, 수질환경, 기후변화 및 생태계, 환경화학 및 보건 등 다양한 환경 분야를 융합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함으로써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환경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특히, 평택 지역의 산업 구조 및 환경 특성을 반영한 실용 중심의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및 공공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정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연구 경험과 실무 능력을 갖춘 융합형 연구 인재의 육성에 중점을 두고자 합니다.
환경융합공학과는 환경문제 해결을 선도할 수 있는 환경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야의 인재를 배출하고자 합니다:
- 대기, 수질, 기후, 생태, 환경보건 등 다양한 환경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복합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환경 기술 전문가
- 평택 지역을 비롯한 지역 산업과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지자체 및 공공기관과 협업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지역 맞춤형 전문가
- 국제 환경규제와 글로벌 이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세계 환경 시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글로벌 환경 전문가
-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이해하고,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산업환경 전문가
교육과정
- 환경융합 분야 최신 기술 전문 인력 양성: 환경융합 분야 관련 최신 국내외 기술과 프로젝트를 다루며, 학생들이 최신 기술을 습득하고 연구 협력을 통해 실제 프로젝트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교과, 비교과 프로그램과 다양한 연구 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기술 역량을 강화합니다.
- 환경융합 핵심 기술과의 융합 인재 양성: 수질, 대기오염 처리 기술 및 모델링, 환경화학 및 보건, 환경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원격탐사 등 환경융합 분야의 핵심 기술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연구 협력을 통해 학생들이 이들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능력을 배양합니다.
- 지역 산업 특화 융합 교육: 평택 지역의 다양한 산업분야와 대규모 반도체 산업단지의 경기남부 지역 집중 현상으로 인한 안성천, 진위천, 오산천, 평택호의 수질오염과 서해안에 집중된 석탄화력발전소, 평택당진항, 제철소 국가산업단지, 폐기물소각장으로 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합니다.
- 기업 수요 맞춤형 융합 교육: 협약된 기업의 수요에 맞춘 맞춤형 교육과 연구개발을 지원하며, 환경공정 설계, 특허 및 상용화 지원, 성능 분석 등을 포함한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합니다.
졸업후 진로
환경융합공학과 졸업생들은 융합적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 관련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반 분석, ICT 융합 기술, 지역 특화 환경 이슈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진로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 1) 공공기관 및 공기업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 환경부, 산림청, 지방행정기관
- 환경정책 수립, 환경영향평가, 대기·수질 모니터링, 환경기술 적용 및 행정 지원
- 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등 탄소중립 관련 업무
- 지방자치단체(시·도청, 시·군·구청 등)
- 지역 환경관리 및 오염저감 정책 추진
- 환경영향 평가 및 지역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기획
- 2) 연구기관 및 학술기관 (Research Institutes and Academic Institutions)
- 국책 연구기관: 한국환경연구원(KEI), 국립환경과학원, 화학물질안전원, 국립생태원, 국립산림과학원, 보건환경연구원 등
- 민간 연구소 및 컨설팅 기업 부설 연구소
- 환경 빅데이터 분석, 대기·수질 모델링, 환경 정책 평가 연구 등
- 국내외 대학 박사과정 진학
- 기후변화, 환경공학, 지속가능한 도시 설계 등 심화 연구
- 3) 민간기업 및 산업체 (Private Sector and Industries)
- 환경 엔지니어링 및 컨설팅 기업
- 수질 및 대기오염 방지 시설 설계 및 시공
- 환경영향평가, 환경기술 검토 및 컨설팅
- 기업의 ESG 대응 전략 수립 및 지속가능성 평가
- 대기업 환경·안전·보건(EHS) 부서
- 삼성전자, LG화학, SK하이닉스, 현대제철 등 제조업 기반 기업의 환경 규제 대응, 오염물질 배출 저감, 친환경 공정 개발
- 친환경 인프라 개발, 폐수 및 폐기물 처리 설비 운영
- 4) 국제기구 및 해외 진출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Global Opportunities)
- 국제환경기구: UNEP(유엔환경계획), UNDP(유엔개발계획), GGGI(글로벌녹색성장기구) 등
- 개발도상국 환경개선 프로젝트 수행, 국제 환경정책 개발
- 해외 대학 및 연구소 진출
- 글로벌 공동연구 수행 및 국제 환경 인증 컨설턴트로 활동
- 5) 창업 및 기술사업화 (Startups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환경기술 스타트업 창업
- 환경 센서 개발, IoT 기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빅데이터 기반 환경분석 서비스
- 기술이전 및 특허 기반 사업화
- 대학원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전 및 기업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