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linkprof,fnctNo=37 차명호 교수 최종학위계명대 대학원 상담심리 석사 /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상담학 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상담학 상담 이명우 교수 최종학위교육학 박사(상담전공)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사례개념화 및 비행청소년 상담 연구분야 수퍼비전, 사례개념화, 과학적 상담, 중독 및 인터넷중독, 독서치료, 심리치료 한국청소년상담원(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교수를 역임하였다. 상담현장에서 어려운 상담사례를 접하면서 사례개념화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1997년부터 사례개념화 중심의 개인상담사례연구집단을 운영해 왔다. 이 경험의 일부를 토대로 2004년 연세대학교에서 ‘상담사례개념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례개념화 중심의 상담실무와 상담수퍼비전, 상담연구를 병행하면서 체득한 사례개념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지혜를 상담현장에서 어려운 사례로 힘들어하는 상담자들과 공유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용수 교수 최종학위교육학 박사(상담전공)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인지행동치료, 집단상담, 가족상담, 의사소통 연구분야 자각(알아차림)과 불안, 스트레스, 대인관계, 자각에 기초한 인지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집단상담, 가족상담, 상담면접 과목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상담학과 자각(알아차림) 방식을 통합하여 자각기반상담 워크숍을 실행하고, 자각(알아차림) 관련 논문을 전문 학술지에 매년 게재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들이 그 원리를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러블리 어텐션’ 방식을 개발하여 저서와 워크숍을 통해 보급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구자경 교수 최종학위교육학 석/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상담학 연구분야 상담학, 상담자교육, 가족상담, 독서치료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에서 학사, 교육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학생생활상담연구소(현 대학생활문화원)와 서울시청소년종합상담실(현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을 거쳐 2002년부터 평택대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다. 개인의 고유한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적 요인, 발달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을 이해하고, 이를 조화롭게 고려한 상담이론과 기법, 다양한 예술매체의 활용방법, 공감적 의사소통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며 교육하고 있다. 임성윤 부교수 최종학위Doctor of Philosophy in Art Education/Arts Administration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Art Education/Arts Administration 연구분야 미술치료, ETC(The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문화예술경영, 예술교육, 창의성 San Francisco Art Institute (BFA), Florida State University (MA,PhD in Art Education/Arts Administration 지도교수:David Gussak), Indiana University-Bloomington 공중보건대학 연구원. 예술을 통한 개인, 나아가 사회의 정신건강, 심리치료와 문제해결이 주된 관심사다. 대표연구 : ETC 예술치료 이론의 창안자인 Vija Lusebrink, Lisa Hinz 와의 공동연구 <Clarifying the Creative level of the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A different dimension>/ The Arts in Psychotherapy(SSCI), <The jeong and haan of Vincent van Gogh: neuropeptides of bondedness and loss>/ Frontiers in Psychology (SSCI) <The Arts in Psychotherapy> 저널 심사위원, 임상미술심리전문상담사(PATR) 및 슈퍼바이저, '마음건강 길' <임성윤의 미술치유> 칼럼 연재중. 김진희 부교수 최종학위심신장애학 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지적·행동·발달장애, 유아특수교육 연구분야 콜라주 미술치료, 예술심리치료, 행동수정, 자폐성장애 행동지원, 발달장애성인 자립지원 등 일본 츠쿠바대학 심신장애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임상경험으로는 츠쿠바지구 심신장애지원팀과 치바현 자폐성지원센터 등에서 다수의 경험을 하였다. 박사학위 취득 후 츠쿠바대학 인간종합과학연구과에서 특임조교수를 거친 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와 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에서 연구 교수를 거쳐 2016년 임용되었다. 담당과목: 정서행동장애아교육, 자폐성장애교육 등